구글 애드센스 수익을 위해 블로그를 시작하신 분들은 여기저기서 정보를 모아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어 가시고 계실텐데요. 애드센스 광고를 넣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수동광고 삽입 꿀팁을 공유해드릴게요.
어떤 분들은 일일이 수작업으로 글 작성 후 넣어주시는 분들도 계시는데요. 글이 한 두개 쓸거라면 상관없지만 앞으로도 꾸준히 글을 써 나가실 계획이라면 이런 사소한 차이에서도 작업 시간이 달라집니다.
목차
수동 광고와 자동 광고의 차이
- 수동광고
- 자동광고
수동광고 만드는 방법
자동광고와 수동광고 함께 쓰는 방법
구글 애드센스 광고 삽입 방법 꿀팁
수동 광고와 자동 광고의 차이
수동 광고
광고를 넣고 싶은 자리를 선택 배치하여 일일이 넣어줘야 하는데요. 사실 이 방법이 구식이기는 해도 확실한 방법입니다. 내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갯수 만큼 광고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 성과를 확인하기도 쉽죠.
수동으로 광고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광고 단위를 생성해주셔야만 하는데요. 광고 단위는 아래 사진과 같이 '광고 단위 기준'에서 만드실 수 있습니다.
광고 단위 기준으로 들어가시면 위 오른쪽 사진처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올텐데요. 보통은 디스플레이 광고, 콘텐츠 내 자동 삽입 광고 등을 사용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디스플레이 광고 : 일반적으로 우리가 자주 보는 배너 광고
인피드 광고 : 글 목록 사이에 글인 것처럼 자동으로 송출되는 광고
콘텐츠 내 자동 삽입 광고 : 글 사이에 들어가는 것으로 디스필레이 광고와는 다르게 문자를 많이 포함
수동광고 만드는 방법
구글 애드센스 광고 삽입 방법 중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이니 잘 알아두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먼저 광고 중 하나를 선택해서 삽입하실 광고 위치를 제목으로 만들어주세요. 예를 들어 글 상단에 먼저 넣을 광고라면 '상단 디스플레이' 이런 식으로 광고를 만들 수 있겠죠? 이렇게 만드는 이유는 다양한 위치의 광고를 삽입하여 성과 분석을 해보기 위함입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광고크기'를 반드시 '반응형'으로 제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반응형은 모바일이나 PC에 상관없이 사용자 여건에 맞추어 알아서 크기가 조정되기 때문에 이후 손댈게 없어집니다.
한마디로 광고 생성 시 따로 만지실게 없습니다. 이름만 작성 하시고 생성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생성 후 코드가 나올텐데요. 이 코드를 작성한 글 사이에 넣어야지만 광고가 송출되니 복사해서 메모장 같은 곳에 옴겨놔주세요.
자동 광고
구글에서 알아서 효율이 좋은 자리에 광고를 배치한다고 하는데, 사실 기준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제멋대로이고, 성과도 실감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제 경험일 뿐 모두 이렇다는 것은 아니니 선택은 본인이 해주시기 바랍니다.
애드센스 홈페이지로 접속하시면 왼쪽 항목 중에서 광고 > 개요로 들어가시면 승인받으신 사이트 목록이 보이실거에요.
위의 저 연필 모양을 눌러보시면 광고 설정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여기서 자동광고를 셋팅하고 싶으시다면 자동광고 옆에 스위치 부분을 눌러 파란색으로 활성화 시켜주세요.
이후 추가적인 설정을 해주셔야만 하는데요. 자동 광고 아래 '광고 형식'이라고 보이시죠? 그걸 눌러보시면 다양한 형태의 광고가 나옵니다. 일단 어떤 광고 들인지 개념 설명부터 해드릴게요.
인페이지 광고 : 일반적으로 글과 글 사이에 들어가는 광고(위 오른쪽 사진)
일치하는 콘텐츠 : 일정 트래픽 양이 받쳐줘야 원할한 광고 송출이 이루어지는데요. 예를 들어 하루 방문자가 200명 이상 정도면 나오는 것 같더라고요. 이건 케이스 바이 케이스니까 일단 활용해보시고 선택하시면 될 거 같아요.
앵커 광고 : 포스팅에 들어오면 화면을 이동하더라도 따라오는 광고를 말합니다.
모바일 전면 광고 : 링크나 지금 읽고 있는 블로그의 다른 글을 눌렀을 때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 광고를 송출하게 됩니다.
위 광고들을 모두 활용하면 좋겟지만 우리도 과도한 광고는 나가버리듯이 글을 읽기 위해 들어온 사람들도 수많은 광고로 도배되어 있다면 나가버릴 수 있겠죠? 무작정 다 집어넣지 마시고 몇 주 단위로 테스트 해가면서 동향을 파악해 보세요.
좀 더 아래로 내려가시면 '자동 광고 수'라고 있을겁니다. 이건 광고의 송출 빈도 수를 말하는 것인데요. 필요한 광고를 활성화 하고 이 빈도 수를 높인다면 같은 글이라도 송출되는 광고의 갯수가 달라집니다. 처음에는 중간으로 셋팅되어 있는데요. 글에 들어간 광고 수를 체크해보시고 많다고 생각하신다면 조금 내리고, 부족하다고 생각하신다면 높이는 방식으로 광고 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설정을 마무리 하셨다면 잊지 마시고 꼭 '사이트에 적용'을 눌러주세요. 그래야 적용이 됩니다.
자동광고와 수동광고 함께 쓰는 방법
주로 많은 분들이 광고는 수동으로 넣으면서 자동 광고의 필요한 부분만 사용하고 싶어 하십니다. 저도 이렇게 세팅해서 쓰고 있는데요. 자동광고를 활성화하고 수동으로 광고를 삽입하게 되면 본문 내에 자동 광고는 붙지 않습니다.
자동 광고의 일부분만 쓰시고 싶으시다면 자동 광고를 활성화 하시고 사용하실 부분만을 활성화 하여 적용을 눌러주세요. 저는 모바일 전면광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답니다.
구글 애드센스 수동광고 삽입 방법 꿀팁
위에서 수동광고를 제작했다면 이제는 광고를 삽입할 차례인데요. 다른 번거로운 방법 다 필요없고, 가장 손쉬운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그리고 광고를 넣을 때는 글을 다 작성하고 마지막에 넣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중간에 임시저장을 하거나 발행 후 글 수정 등을 할 때도 꼭 코드를 지웟다가 다시 넣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건 이유를 알 수 없지만 코드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더라고요.
티스토리 블로그에는 '서식' 기능이 있는데요. 이 서식 기능을 활용하면 손쉽게 광고를 집어넣을 수 있습니다. 블로그 관리창에서 서식관리 > 서식 쓰기 로 들어가셔서 제목에 광고 생성 시 사용하셨던 제목과 같은 제목을 입력해주세요.
광고를 삽입하게 되면 광고 코드와 일반 글의 경계가 헷갈려서 나도 모르게 지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니, 본인이 알아볼 수 있도록 '-' 또는 '.'으로 표시를 해두세요.
이렇게 작성하고 우측 상단에 '기본모드'를 눌러 'html'모드로 들어가주세요.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실거에요.
여기에 아까 메모장에 복사해두었던 광고 코드를 넣고 그대로 완료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광고 서식이 완성되면 글을 작성하시고 손쉽게 광고를 삽입할 수 있게 됩니다.
이제 글을 다 작성하고 마지막에 서식을 통해 이렇게 광고를 삽입하게 되면 우리가 광고와 일반 글 간의 구분을 위해 넣어두었던 '-'가 보이실겁니다. 이걸 제거해주시고 발행해주시면 구글 애드센스 광고가 송출된답니다. 물론 안지우고 발행해도 되지만 뭔가 지저분해보일 수 있으니 지워주시길 당부드려요.
구글 애드센스 광고 삽입 방법 꿀팁을 소개해드렸는데요. 저도 이 방법을 알게되고 보다 편하게 글을 쓸 수 있게 되었답니다. 원래는 글쓰고 마지막에 일일이 코드로 넣었는데, 얼마나 불편했는지 모릅니다. 여러분은 이 꿀팁을 활용하셔서 보다 편하게 글을 쓰셧으면 하는 바램이네요:)